首页 >산동개요 新山东概要

공맹사상

NAVER2021-06-29 13:12

  공자(孔子)와 맹자(孟子)의 사상체계를 통칭한 말.

  원래 유교는 공자학파를 뜻했는데, 10세기의 송대(宋代)에 맹자를 높이 존중하여 유교를 공맹사상이라 부르게 되었다. 공자사상의 중심은 예(禮)와 인(仁)이다. 예는 외형적 구속에 의한 사회질서이며, 또한 개인생활에도 강한 구속력을 가진 삶의 기본 형식이다. 예의 정신적 기본은 윤리주의에 있는데, 즉 이것이 인이다. 인이란 말은 물론 옛날부터 있었으나, 여기에 깊은 의미를 붙인 것은 공자이다.

  인은 인(人)이다. 즉, 이것은 인간의 도덕성의 존재를 믿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그의 제자들은 예를 중심으로 한 객관파와 인을 중심으로 한 주관파로 나뉘어서 발전하였는데, 전자에는 자유(子游) 자하(子夏) 등이 있고, 후자로는 증자(曾子) 자사(子思) 맹자(孟子) 등이 있다. 자사의 문인에게 배운 맹자는 공자의 도(道)를 계승하여 인간의 도덕적 기준으로 인의(仁義)를 중시하고 도덕 성립의 근거로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는 한편 덕치주의(德治主義)와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역설하였다.